활선절연진단
(OLCM)

 

저압누전감시

 

정전절연진단

고장점탐지

부분방전PD검출

 

 

 


회사소개

제품소개

기술자료

활선절연진단

저압누전감시

정전절연진단

고장점탐지

CABLE PD진단

 사이트링크

대리점

 e-mail

  Top

 


MV Power Cable에서의 부분방전측정(PD측정)관련 검토자료

1page

2page

3page

4page

5page

6page

7page

8page

9page

10page

11page

12page

13page

14page

15page

16page

17page

18page

19page

20page

 

전력케이블에 있어 부분방전PD신호 전파특성(3)
PD
Pulse신호 변형(Pulse distortion)관련 국내외 자료 검토


2014년
12 29                                                                                            검토자: 김보경
2015년  8월 3일 1차 보완

<출전: Partial Discharge XXII: High Frequency Attenuation in Shielded Solid Dielectric Power Cable and Implications Thereof for PD location, STEVEN BOGGS, IEEE Electrical Insulation Magazine, 19961Vol. 12, No. 1>


Fig. 4 PD waveforms as a function of distance propagated through a cable with frequency dependent attenuation corresponding to Fig 3. The distances propagated are 0, 100, 300, and 1000 m

검토의견:  1)1996년도 1월에  IEEE협회지에 발표된 자료이고, 공동저자로 Hipotronics, Robins Instruments사가 있음.

           2) 그림에서 보면 PD발생지점(0m)에서 펄스폭이 약5ns이고 PD크기가 1.0이라는
               부분방전(PD)발생시에, PD발생지점으로부터 PD신호가 전파되어 100m지점에서는
               펄스폭이 약 15ns, PD크기는 약0.15정도로 검출될 수 있고, PD발생지점으로부터  
              
300m지점에서는 펄스폭이 약30ns, PD크기는 약 0.1정도 검출될 수 있을 것으로
               추정될 수 있는 것으로 보여주고 있다.

           PD발생지점으로 거리가 떨어질 수록, PD Pulse펄스폭이 증가,
            
PD Pulse크기는 감소

           3) 한편, 상기 그림에서 100m이상의 경우를 보면 PD Pulse pick
             원래 PD신호보다
  매우 감쇠되어져 PD검출센서로 입력되고,
             또한 주변의 다른 Noise신호와 다른 설비에
의해 나타나는 고주파신호와
             향후 검토할 PD신호의 반사파형까지 함께 PD검출센서에
입력되어질
            것인데, 100m이상 떨어진 곳에서 발생한 진짜의 케이블 PD신호를 ?????

          
리고, 진짜의 PD 파형을 알아야 최근 PD신호의 감쇠문제점을 보완하기
            적용하고
있는 방법중 하나인 검출된 PD파형의 면적을 계산하여 
            PD발생크기를 추정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감쇠량이 작아 검출되어지는 PD신호의 Level이 다른 고주파신호의 파형들에 비해
              Level이 크면 주파수분석하고, 면적계산하고 등등의 방법을 사용하면 가능하겠지만…)  

           4) 외국에서는 약20여년전에  케이블의 PD측정시의 PD Pulse의 감쇠 때문에,
            PD발생
지점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장소에 PD검출센서를 설치시의 문제점을
            어느 정도 파악
.
 


 
①ⓐ<출전: Objective Methods to Interpret Partial-Discharge Data on Rotating-Machine Stator Windings.     Greg C. Stone, Fellow, IEEE Translations, 2006년2월>    <2015년 8월 보완부분>


   
Fig1. Attenuation and dispersion of a pulse as it travels along a cross-linked polyethylene power cable of different lengths.

검토의견:  1) 2006년도 2월에  IEEE협회지에 발표된 자료를 보면

                2) 그림에서 보면 PD발생지점(0m)에서  PD발생크기(Max)가 약0.055의 크기가
케이블 길이 100m에서는 PD크기(Max)가 약0.025 , 케이블 길이 300m에서는
PD크기(Max)가 약0.005정도이다는 것을 보여주소 있다.

                3)  그림에서 PD발생지점(0m지점)에서 검출되는 PD크기를 100%라고 하면
PD발생지점으로부터 100m떨어진 지점에서 검출되는 PD크기는 50%이하,
PD발생점으로부터 300m떨어진 지점에서 검출되는 PD크기는 10%정도라고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4)  그리고 펄스의 형태는 300m떨어진 위치에서는 케이블의 정전용량때문에 거의 펄스형태가 rising time과 falling time이 크게 변화하여 펄스형태를 거의 검출할 수 없을 정도로 펄스가 변화되어 있다는 것을 나타낸 자료로서, 상기①항의 1996년에
발표한 자료와 유사하다.

           PD발생지점으로 거리가 떨어질 수록, PD Pulse펄스폭이 증가,
            
PD Pulse크기는 감소
 

           5) 따라서, 이 자료는 케이블에서의 부분방전(PD)검출은 PD발생지점으로부터
            수
m이하에서는 크기가 감쇠되지 않고 파형의 변형도 작기 때문에

            케이블의
PD측정은 PD검출하고자 하는 부분에서 수m이내에 PD측정 센서를

            설치해야 한다는
1980년 이전부터 알고 있던 사항을 다시 확인시켜주는 것은
            아닐까
?


<출전: Analytic Solutions for Pulse Propagation in Shielded Power Cable for Symmetric and Asymmetric PD Pulses, Naima Oussalah, IEEE Transactions on Dielectrics and Electrical Insulation Vol. 14, No. 5; October 2007>

검토의견:  1) 2007년도 10월에  IEEE협회지에 발표된 자료를 보면

           2) 그림에서 보면 PD발생지점에서 발생한 PD Pulse는 케이블을 따라 전파하면서
              전파거리에 따라 펄스폭(Pulse Width)가 비례적으로 증가함을 보여주고 있다.

             그리고, 한편 PD발생지점으로부터 수m이하에서는 Pulse폭의 증가폭이 적다는
             것을 보여주는데
, 이 사항은 PD발생지점에서 발생한 PD Pulse Waveform

             크게 변형되지 않고 있음을 추정할 수 있다
.

           3) 따라서, 이 자료는 케이블에서의 부분방전(PD)검출은 PD발생지점으로부터
            수
m이하에서는 크기가 감쇠되지 않고 파형의 변형도 작기 때문에

            케이블의
PD측정은 PD검출하고자 하는 부분에서 수m이내에 PD측정 센서를

            설치해야 한다는
1980년 이전부터 알고 있던 사항을 다시 확인시켜주는 것은
            아닐까
?
 


<출전: 지중배전케이블 최적 열화진단기술 선정 및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보고서, 2009, 한전전력연구원>

pd신호전달특성

<그림. 신호전달 특성>

그림과 같은 부분방전 펄스신호가 발생하면 케이블을 따라 이동하면서 필스의 크기는 작아지고 펄스의 폭은 넓어진다. 따라서 각 지점에서 측정되는 신호의 주파수대역이 점차 낮아지게 된다. 측정점에서는 여러 개의 신호가 무리지어 나타나고 이것이 모여 포락선을 형성하면서 PD파형을 구분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검토의견 :    1) 상기 자료의 그림을 보면 A점에서 PD발생하여 케이블을 따라 B~F측으로
                       전파되면서
                      PD발생지점인
A에서 멀리 떨어질 수록 펄스폭은 넑어지고(즉 펄스폭은 커짐),
                       Pick-pick크기는 감소하는 형태로 변화되는 것을 보여주고 있음.

         
       2) 상기 그림상으로는 펄스폭의 크기가 거리에 따라 어느 정도 변화되는 지는
                     알 수 없지만
, 현재 외국자료로 보면 거리에 따라 1차직선형태로 감소됨.

                 3) 상기 자료에서는 PD펄스의 pick-pick크기의 감쇠 및 Pulse Width가 커져서
                     PD발생위치로부터
PD검출센서가 설치된 장소가 멀리 떨어질수록

                    매우 작은
Level PD펄스 크기와 매우 큰 PD펄스폭의 변화와, 향후 검토할

                    양쪽 단말부에서에서
PD신호의 전반사되고 크기의 감쇠 및 펄스폭의 변형되어진

                    펄스들과 주변 환경
Noise들이 함께 PD검출센서로 유입되어 PD신호로 검출되어

                    질 것인데
…………


               4) PD검출센서가 설치된 위치로부터 수m이내에 PD가 발생하였는지, 수십m이내에
                   PD가 발생하였는지
, 수백m이내에서 PD가 발생하였는지 등의 PD발생위치를

                   모르는 상태에서
PD검출신호의 크기, 펄스폭을 측정하면 PD발생위치에서의
                   Original PD발생크기를 알 수 있을 까
??????
 

<출전: Partial Discharge Pulse Propagation, Localisation and Measurements in Medium Voltage Power Cables, Power Engineering Conference(UPEC), 2013 48th International Universities, HVPD사>

pd pulse width

Fig. 1 Pulse width as a function of distance propagated for a 10 V Pulse with a 5 ns initial width

PD발생지점으로부터 케이블을 따라 전파하면서 펄스폭과 펄스상승 시간이 케이블 거리에 비례하여 증가.

거리L증가- PW & Rise time 증가

pd pulse rise time

Fig. 2 Pulse rise time as a function of distance propagated for an 10 V Pulse with initial widths from 10 – 100 ns

PD발생지점에 발생한 PD신호의 펄스폭이 클수록 케이블을 따라 전파하면서 펄스상승시간이 케이블 거리에 비례하여 증가

(PD신호의 R직렬C병렬의 특성 때문이 아닐까)

L&PW증가 - Rise time 증가

pd pulse rising time (HFCT와 직접검출 비교)

Fig. 3 Pulse rise time as a function of distance propagated for a 10 V Pulse with a 10 ns initial width when measured with the HFCT sensor and the voltage probe

PD발생지점에 발생한 PD신호를 케이블을 따라 전파하면서

발생하는
PD신호를 HTCT센서와
직접 검출하는 방법으로 검출하는 경우에 있어

HFCT센서를 통해
검출하는 PD신호의 상승시간이 길다.

(HFCT는
2차측에 유도될 때의
 특성과, Direct는 전압Probe 사용한 HV Connector특성 차이로 발생된 것은 아닐까?)

L증가- HFCT 검출Pulse시간 증가

pd pulse width

Fig. 4 Pulse width as a function of distance propagated for a 10 V Pulse with initial widths froms 10 – 100 ns

PD발생지점에 발생한 PD신호의 펄스폭이 클수록 케이블을 따라 전파하면서
펄스폭이
케이블 거리에 비례하여 증가

(PD신호의
R직렬C병렬의 특성
때문이 아닐까)

거리
L & Rise time증가 -PW 증가

부분방전 pd pulse폭변화

Fig. 5 Pulse width as a function of distance propagated for a 10 V Pulse with a 10 ns initial width when measured with the HFCT sensor and the voltage probe
 

PD발생지점에 발생한 PD신호가 케이블을 따라 전파하면서

 발생하는 PD신호를 HTCT센서와

직접 검출하는 방법으로 검출하는
경우에 있어
HFCT센서를 통해
검출하는 PD신호의 펄스폭이 길다.

(HFCT는
2차측에 유도될 때의
 특성과, Direct는 전압Probe 사용한 HV Connector특성 차이로 발생된 것은 아닐까?)

L증가- HFCT 검출Pulse시간 증가

 

검토의견 :    1) 2013년 영국 PD장비 제조사인 HVPD사의 자료를 보면

-. PD발생지점에서 발생한 부분방전(PD)는 케이블을 따라 전파하면서
                              펄스폭
(Pulse Width)와 펄스상승시간(Rising Time)이 증가한다.


                           -. 펄스폭은 HFCT Sensor를 사용하는 것이 직접 HV Connector를 사용하여
                               검출
하는 쪽이 직선성이 양호하다고 기술하고 있다.

                  2) 좀더 구체적으로 검토해보면

                       PD발생폭이 매우 짧은 10ns인 경우, 펄스폭과 Rise Time의 변화를 보면


                            500m케이블을 전파하면 펄스폭은 HFCT에서 검출하는 경우 약120ns

                                 (PD발생지점에서 펄스폭은 HFCT로 검출하는 경우 약40ns)


                            
500m케이블을 전파하면 펄스Rise time HFCT에서 검출하는 경우
                                약
25ns   (PD발생지점에서 펄스 Rise Time은 약 5ns)

                             
③따라서, 감쇠되고 Noise Level까지 종합 고려하면 수십m이하에서
                                PD발생한
것으로 추정하여 오측정DATA결과 가능성.

                   
3)  결론적으로는 PD Pulse는 케이블을 따라 전파하여, PD발생지점에서
                       발생한 부분방전(PD)는 케이블을 따라 전파하면서 펄스폭(Pulse Width)
                       펄스상승시간(Rising Time)이 거리에 비례하여 증가한다.
 

 

<출전: On-line Partial Discharge (OLPD) Monitoring of Complete High Voltage (HV) Networks in the Oil & Gas Industry, 2014년 10, 영국HVPD사 기술자료>

HVPD사의 PD Pulse parameter with Distance Propagated

검토의견:  1) 최근 2014년에  PD장비 제조사인 영국 HVPD사의 기술자료에 공개된
                      자료와 같이
,

                    
그림에서 보면 케이블의 거리에 따라 전파하면서 PD신호 크기가 감쇠하고,

                    또한 펄스가 변형되고 있다는 것을 간략하게나마 보여주고 있다.


                      그림에서 보면 케이블을 따라 전파되면서 PD신호의 Pulse pick크기는
                 
감쇠되고
펄스 파형의 뾰족한 모양이 Smooth한 모양으로, 급격하게
                  
상승하는 모양이 점차
시간을 갖고 상승하는 모양으로,
                  
좁은 펄스모양이 넓게 퍼지는 모양으로 즉. 펄스 폭과 Rise time
                   
증가되고 있음이 표현되어 있다.

             2)
그리고, 상기에서 검토한 2013년 자료와 본 2014년 자료는
                 PD장비 제조사에서 케이블의 거리에 따라 전파되면서

                 PD Pulse의 감쇠 및 파형의 변형의 형태를 공개한 자료이다.




< 검토의견 종합  :  2014 1229

전에 기술한 PD신호의 케이블을 따라 전파하면서 발생하는 신호크기의 감쇠특성에서 기술한, 한국과 일본의 공개된 자료에서 언급한 펄스의 변형현상과, 상기에서 기술한 PD신호의 케이블을 따라 전파하면서 발생하는 Pulse Waveform의 펄스폭&상승시간의 증가하는 특성을 자료를 종합해보면

1) 국내에서는 PD신호가 케이블을 따라 전파하면서 파형의 변형은 있는 것으로 알고 있었으나, 구체적으로 펄스폭과 펄스상승시간에 대한 이론적 & 실험적으로 고찰된 공개자료를 찾을 수 없었음.

2) 일본에서도
PD신호가 케이블을 따라 전파하면서 파형의 변형은 있는 것으로 알고 있었으며,
이러한 감쇠외 파형의 변형문제로 케이블 거리에 따른 문제를 없애기 위해 케이블의 단말 & 접속재 부분에 용량성센서를 설치하여 수십~수백KHz대역의 주파수대역에서의 PD검출방식을 적용.

그리고
, 거리에 따른 펄스폭과 펄스상승시간에 대한 고찰 필요성 때문에 구체적 공개자료를 찾을 수
  없었음.

3) 일본을 제외한 외국에서는 상기에서 검토한 자료와 같이
, 현장Noise에서 보다 좋은 특성이 좋은
 MHz~수백MHz 고주파대역에서 PD검출하기 위해1990년 중반기부터 케이블을 따라 전파하면서 발생하는 PD신호의 펄스폭과 상승시간에 대해 연구를 많이 있었으며 결론적으로는 전력케이블에 있어 고주파PD펄서의 신호는 케이블을 따라 전파하면서 다음 그림과 같은 형태로 PD Pulse의 펄스폭과 Rise Time이 직선적으로  케이블의 거리에 따라 증가.

한편, PD펄스의 케이블 따라 전파시에  m이하에서는 펄스폭과 Rise time의 변화가 거의 없음

PD신호펄스폭변화

4) 따라서 실제 현장에서 현장Noise가 발생하고 있고, 장기간 사용하고 있는 CV케이블의  부분방전(Partial Dischaarge, PD)검출시에 수십m이상 떨어진 위치에서 PD발생한 것을  PD신호의 케이블따라 전파시의 펄스폭과 Rise time증가로 인하여 PD검출센서에서 검출되는 고주파대역의 주파수성분이 PD발생위치의 고주파대역의 주파수성분보다 작게되어 현장Noise성분과 인접한 고주파성분으로 검출될 수 있을 것 같은데….

그리고, 현장Noise성분과 검출하려는 PD성분을 서로 분리할 수 있을까???

그리고, 먼저 검토한 PD신호의 케이블 전파시의 크기 감쇠특성을 추가 고려하면
     고주파PD검출센서에 의해 수십m이상 떨어진 위치의 PD검출은 더 더욱 ?????


본 자료들은 허락없이 인쇄물/site에 공개해서는  안됩니다만,
본 사이트 또는 검토자를 명확하게 기재하는 경우에는 공개 가능합니다.
 2014 1229

 

                                             이전Page     다음 Page

                                                PDF자료 (Down)  (2015년8월3일 보완)
 

 

 

 

 

 

 

               

 

 

 

Korean

 

English

 

Japanese

 메가파워테크(온라인 활선진단장치 및 케이블절연불량 탐사기 전문회사) 로고

 

 

 
Copyright 2003 ® MEGA POWER TECH co. All rights reserved.
서울 금천구 시흥대로97, 3동234호 (시흥동)
메가파워테크: [tel:02-6291-4601 ,e-mail:
olcm@olcm.co.kr